
[세종타임즈] 세종특별자치시가 민생경제 회복과 시민 안전, 복지 강화를 위해 1,057억 원 규모의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마련해 지난 14일 시의회에 제출했다.
이용일 기획조정실장은 18일 브리핑을 통해 이번 추경안의 주요 내용을 설명하며 “정부 추경에 따른 국고보조사업 반영과 취약계층 지원, 지역경제 활성화, 안전 기반 확충을 핵심 방향으로 편성했다”고 밝혔다.
원안이 통과되면 올해 세종시 예산은 총 2조 2,133억 원으로, 지난해 대비 7.9%(1,623억 원) 증가하게 된다.
추경안에는 지역 소비를 촉진하고 소상공인 매출을 높이기 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726억 원이 반영됐다. 이번 예산은 국비 653억 원과 시비 73억 원으로 구성된 1차분으로, 추후 2차분도 확보할 예정이다.
또한 지역화폐 ‘여민전’ 캐시백 지원 예산을 기존 60억 원에서 91억 원으로 31억 원 증액했다. 이와 함께 충청권 4개 시도가 협력해 추진하는 정보보호 클러스터 구축사업에 13억 원을 투입해 세종시를 정보보호 산업의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영유아 보육료 지원(72억 원)과 기초 생계급여(21억 원) 예산을 늘려 복지 사각지대를 보완했다.
청년층 주거부담 완화를 위해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사업을 8억 원에서 15억 원으로 확대했으며, 저출생 극복을 위한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3억 원 증액) ▶임신 사전건강관리(1억 원 증액)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2억 원 증액)도 반영됐다.
재난 예방과 교통안전을 위한 예산도 포함됐다. 도로 및 교통 인프라 유지보수에 9억 원을 증액하고, 집중호우 시 침수 피해 예방을 위해 호려울·미르 지하차도 자동차단 시스템 설치 예산 3억 6천만 원을 확보했다.
또한, 읍면동 청사 운영비(2억 원), 사회복무요원 급여(3억 원), 공무원 명예퇴직 수당(2억 원) 등 필수경비도 함께 편성됐다.
세종시는 이번 추경안이 시의회 상임위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사를 거쳐 오는 9월 8일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용일 기획조정실장은 “재정이 빠듯한 여건 속에서도 민생경제와 저출생 대응, 시민 안전을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을 담았다”며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해 행복한 세종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