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타임즈] 문화재청은 국가무형문화재 ‘윤도장’ 보유자로 김희수를 인정 예고했다.
국가무형문화재 ‘윤도장’은 전통 나침반인 윤도를 만드는 기술을 보유한 장인을 말한다.
윤도는 천문학, 음양오행 사상 등 동양의 우주관과 세계관이 반영된 대표적인 전통 생활과학 도구다.
천문학이 발달하기 시작한 삼국 시대부터 쓰였을 것이라고 짐작되나, 조선 시대에 그 사용이 일반에 널리 퍼졌다.
특히 뱃사람이나 여행자, 농사꾼, 집터나 묘자리를 찾는 지관 등이 남북을 정하고 방향을 볼 때 사용했다.
윤도장 보유자로 인정 예고된 김희수 씨는 증조부 때부터 시작해 4대째 윤도 제작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는 장인이다.
현재 보유자인 아버지 김종대로부터 그 기법을 전수 받아 약 40여 년간 윤도 제작 기술을 연마했고 2007년에는 전승교육사로 인정됐다.
이번 보유자 인정조사에서는 공정별 재료, 도구 사용이 전통성을 가지고 있으며 평철과 선추의 제작 기술이 숙련도와 완성도를 갖추고 있다고 평가받았다.
특히 대추나무에 음각을 하는 각자 작업과 강철을 깎아 자침을 만든 후 윤도에 얹는 작업이 매우 섬세하고 정확했다.
또한, 각종 기관에서 주최하는 무형문화재 교육, 체험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윤도를 알리고 전승하려는 의지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았다.
윤도는 중앙의 자침을 중심으로 동심원의 숫자에 따라 1층부터 많게는 36층까지 다양한 크기가 있고 각 층에는 음양·오행·팔괘 등이 조합을 이루며 배치된다.
특별한 장식 없이 7~9층 정도로 구성된 평철이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형태다.
한편 조선 시대 사대부들은 여름철 부채에 2~3층 정도로 작은 휴대용 나침반인 선추를 달았는데, 선추의 표면에 아름다운 조각을 새겨 실용적인 멋을 뽐내기도 했다.
윤도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평철은 나무를 원통형으로 깎아 모양 만들기, 중심과 층수를 정해 정간하기, 각자 하기, 먹칠하기, 중앙원 다듬기, 옥돌 가루 칠하기, 주사 입히기, 자침 만들기 등 여러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특히 나무 표면에 작은 글씨를 새겨야 하는 각자 작업은 윤도장의 핵심 기술로 고도의 집중력이 요구되는 세밀한 공정이다.
이번 국가무형문화재 윤도장 보유자 인정조사는 2020년 공모 및 서면심사, 2021년 6월 현장실사, 7월 무형문화재위원회 전통기술분과의 검토 과정을 거쳤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국가무형문화재 ‘윤도장’ 보유자로 인정 예고한 김희수 씨에 대해서 30일 이상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적극행정의 하나로 어렵고 취약한 여건 속에서도 우리의 전통기술을 전승하고 있는 장인들을 발굴하고 무형문화재의 전승을 다각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세종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