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타임즈] 충청북도보건환경연구원은 도내 유통 다소비 가공식품에 대한 보존료 사용실태 집중점검을 진행한 결과, 기준규격에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보존료란, 세균·곰팡이 등 미생물에 의한 품질 저하를 방지해 식품의 보존 기간을 연장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이다.
현재 ‘식품의 기준 및 규격’고시에서 정하고 있는 보존료 6종은 데히드로초산나트륨, 소브산 및 그 염류, 안식향산 및 그 염류, 파라옥시안식향산류, 프로피온산 및 그 염류이다.
이를 장기적으로 과잉 섭취 시 염증 활성화, 알레르기 반응,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에 연구원은 5월 17일부터 6월 4일까지 3주간, 여름철 미생물 증식에 대비하고 식품 안전성 확보를 목적으로 도내 11개 시·군과 함께 유통식품에 사용되는 보존료 함유량 실태 조사를 위한 수거·검사를 실시했다.
검사대상은 음료류, 면류, 잼류, 빵류, 장류, 소스류 및 절임·조림류 등 25개의 식품유형이며 총 257건의 검사를 진행했다.
검사결과, 소브산은 음료류 2건·절임류 21건, 안식향산은 음료류 7건·절임류 1건,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은 간장류 4건에서 검출됐지만, 모두 기준규격의 55% 이내로 나타났다.
도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제품 구매 시, 성분 및 함량 표시란을 보시면 보존료 사용여부에 대해 확인하실 수 있다”며 “이번 집중점검을 통해 식품 전반에 대한 보존료 사용 실태가 안전한 수치임이 확인 됐으니 안심하고 드셔도 된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유통식품의 안전관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일상적인 감시체제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세종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