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타임즈] 대전시립미술관(관장 윤의향)은 오는 10월 21일부터 12월 14일까지, 대전창작센터에서 특별기획전 <대종로 470 : 정면, 입면, 배면>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대전창작센터가 걸어온 20년의 여정에 마침표를 찍고, 다가올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는 기념비적 전시로 마련됐다.
대전창작센터는 옛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충청지원 건물로, 한국 근대건축가 故 배한구(1917~2000) 선생이 설계했으며, 등록문화재 100호로 지정된 의미 깊은 공간이다.
2005년 대전시립미술관이 <산책–건축과 미술> 전시를 통해 공간의 문화시설 활용 가능성을 실험한 것을 시작으로, 2008년 국가유산청(구 문화재청)으로부터 관리 전환을 승인받으며 창작지원 공간으로 거듭났다.
이후 20년간 대전창작센터는 실험과 상상의 장으로서 지역 미술 생태계의 다양성을 견인했으며, 특히 공립미술관 최초 기획 개방 프로젝트 <DMA 캠프>를 통해 예술의 자율성과 확장성을 보여주는 모델로 주목받았다.
이번 전시는 대전창작센터의 실제 도로명 주소인 ‘대종로 470’을 제목으로 차용하고, 건축 용어 ‘정면, 입면, 배면’을 통해 공간이 지닌 물리적 구조와 정서적 기억을 동시에 조명한다.
전시는 ▶라현진(설치·사진) ▶무진형제(영상·설치) ▶서도호(드로잉) ▶안성석(사진) ▶양정욱(설치·드로잉) 등 5인의 작가와 아카이브 자료로 구성된다. 작가들은 ‘공공 미술관’이라는 공간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예술과 기억, 공유의 의미를 시각언어로 풀어낸다.
특히 아카이브 섹션에서는 2000년대 초부터 현재까지의 대전창작센터 활동 기록을 전시하고,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시절의 역사적 사진(전형원 이공갤러리 관장 제공)과 센터를 거쳐 간 작가들의 주요 작업도 함께 소개된다.
대전창작센터는 이번 전시를 끝으로 현재의 운영 체제를 마무리하고, 2026년부터는 ‘원로예술인 특화전시관’으로 전환된다. 대전시는 해당 공간을 중심으로 지역미술사 연구의 거점이자 다학제적 예술 플랫폼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전시 기간 중에는 대전 원도심의 대표 근대 건축물을 따라 걷는 산책 프로그램 등 시민 참여형 연계 프로그램도 운영될 예정이다.
윤의향 대전시립미술관장은 “대전창작센터는 도시와 예술, 기억과 실험이 교차하는 상징적 공간”이라며 “이번 전시는 그 시간성과 의미를 되짚는 동시에, 앞으로의 대전 미술이 나아갈 방향을 함께 고민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