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타임즈] 세종특별자치시의회 상병헌 의원이 세종파이낸스센터 2차 건물에 추진 중인 데이터센터 건립 문제를 두고 “입지를 전면 재검토하고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상 의원은 25일 열린 제100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긴급현안질문에서 최민호 시장을 상대로 “시민들이 한 달째 시청 앞에서 집회를 이어가고 있음에도 행정은 여전히 ‘법적 기준 충족’을 이유로 추진 의지를 고수하고 있다”며 주민 우려를 반영하지 못하는 시의 태도를 지적했다.
그는 특히 데이터센터의 규모와 위험성을 강조했다. 어진동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전 설비 용량은 40MW로, 이는 약 8만 가구 32만 명이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에 해당해 “사실상 세종시 전체 인구의 전력 소비량과 맞먹는 대형 시설을 도심에 두는 것은 과도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공랭식 냉각 방식을 채택해 24시간 열 수증기를 배출하게 되면서 소음·열섬현상·전자파 등 주민 피해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경고했다. 더불어 반경 500m 안에 어린이집과 학교, 주거단지가 밀집해 있어 1,500여 명의 아동과 4천여 명의 주민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상 의원은 주민 여론을 뒷받침하는 해외 사례도 소개했다. 미국 버지니아주 라우든 카운티는 주민 갈등 이후 신규 데이터센터 설치 시 주민 공청회와 특별허가 절차를 의무화했고, 네덜란드와 독일은 입지 제한과 마스터플랜 제도를 도입했으며, 일본은 주민 청원에 따라 사전고지와 설명회 의무를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세종시는 여전히 상위법 기준만을 이유로 추진을 이어가고 있어 주민 불안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상 의원은 “데이터센터는 도심이 아닌 외곽 산업단지에 들어서야 한다”며 “세종시는 데이터센터 유치보다 정부 부처·위원회·공공기관 이전을 통해 행정수도 위상을 강화하고 상가 공실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그는 또 “용인시와 고양시는 각각 건축위원회 심의 의무화, 도시계획조례 개정 등 자체 기준을 마련했지만 세종시는 아직 구체적 제도조차 없다”며 “향후 데이터센터 유치 시 적용할 입지 선정 및 안전 가이드라인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실제 주민 여론조사에서도 반대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인근 주민 1,200명이 오프라인 서명으로 반대 의사를 밝혔고, 온라인 설문에서도 참여자 215명 중 94.9%가 건립 반대 입장을 드러냈다.
상병헌 의원은 “어진동 데이터센터는 단순 시설이 아니라 법적으로 ‘대형 데이터센터’에 해당한다”며 “주민 동의 없는 일방적 추진은 행정 신뢰를 무너뜨릴 뿐”이라며 입지 재검토와 제도 개선을 거듭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