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타임즈]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월 21일 2025년도 추가 지정 7개 사업을 포함한 39개 혁신도전형 앞으로 연구개발 사업군 목록을 과기정통부 누리집을 통해 공고했다.
앞으로 연구개발은 세계 최고 또는 최초 수준의 연구 성과를 지향해 실패 가능성은 높으나 성공할 경우 혁신적 파급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연구개발 사업을 선별·지정하고 차별화된 체계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4월부터 주요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정부부처를 대상으로 후보사업을 발굴해, 혁신도전성의 대표 요소로서 A- P-R-O와 함께 유형별 적절한 추진체계를 구성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검토했다.
이번 추가 지정 절차는 지난 6월 25일 개최된 제3회 혁신도전추진 특별위원회의 사업 후보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
추가 지정된 7개 사업 중 4개는 혁신도전형 과제의 기획·선정·평가 등 연구관리 권한과 책임을 총괄관리자에게 부여해 밀착 관리되는 ‘밀착관리형’ 사업이며 나머지 3개는 경쟁 기획, 동일 목표에 대한 다수 과제 선정·경쟁 등 경쟁형 방식을 적용하고 과제 수행 과정·성과·평가 결과를 공개하는 ‘공개경쟁형’ 사업이다.
△자원순환형 초고에너지밀도 주유형 알루미늄 공기전지, △미래 판기술 사업, △인공 지능 최강자 사업 지원 등 각 사업은 세계 최초 기술개발, 신산업 생태계 조성, 인공 지능 혁신기술 확보 등을 목표로 추진된다.
내년부터 신규 과제로 공모될 추가 지정 사업들은 기존 사업들과 마찬가지로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고위험·도전형 연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맞춤형 제도적 지원을 받게 된다.
연구시설·장비를 도입할 때 수의계약을 통한 신속 도입이 가능해져 기존 120일 이상 걸리던 도입 기간이 약 50일로 단축되며 과제 최종 평가 시에는 성공, 실패의 구분 없이 과정 중심 평가 체계를 적용받게 된다.
또한, 우수한 성과에 대해서는 공모 절차 없이 후속 연구 추진을 허용해 산업적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고 과감한 도전으로 발생한 정당한 시행착오에 대해서는 제재 처분 없이 종료가 가능하다.
향후 앞으로 연구개발 사업군에 대해서는 총괄관리자에게 연구 관리의 전권을 부여하고 책임 있는 운영을 위해 관련 법령 개선과 함께 역량진단 모형 마련,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체계적인 육성 정책을 지속할 계획이다.
박인규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기술패권 경쟁 시대에 국가 미래 생존과 번영을 위해서는 연구자들이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고난이도 연구에 자유롭게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혁신도전형 앞으로 연구개발 정책 추진을 통해 연구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도전적 연구개발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세종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