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타임즈] 대전시가 길고양이를 둘러싼 시민 갈등을 줄이고 동물복지 향상을 위해 공공이 직접 나서는 정책을 시행한다.
시는 최근 유성구 관평동 등 주요 지역 5곳에 ‘길고양이 공공급식소’ 시범 설치를 완료하고 운영에 들어갔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그간 길고양이에게 사적으로 사료를 주는 ‘케어테이커’들과 일부 주민 간의 불편과 갈등이 지속됨에 따라, 급식소 운영을 공공이 체계적으로 관리해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취지다.
대전시는 정책 추진에 앞서 시민참여 플랫폼 ‘대전시소’와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총 2,224명의 의견을 수렴했다. 그 결과, 전체 응답자 중 82.1%가 공공급식소 설치에 찬성했으며, 중성화 수술(TNR)과 병행하는 정책에도 높은 공감을 보였다.
현재 시는 ▶유성구 관평천 ▶궁동하교 ▶유림공원 등 총 5개소에 공공급식소를 시범 운영 중이다. 이를 통해 급식소를 위생적으로 관리하고, 중성화를 통해 개체수를 조절함으로써 ▶야간 울음소리 ▶쓰레기봉투 훼손 ▶인수공통전염병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 7월 10일 관평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지역 통장 45명을 대상으로 공공급식소 시범 설치 설명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는 길고양이 생태와 서식 현황, 중성화의 필요성, 공공급식소 운영 방향 등에 대한 설명이 진행됐으며, 지역 내 설치 위치와 운영 방식 등에 대한 의견도 수렴했다.
대전시 관계자는 “공공급식소는 단순한 먹이 제공이 아닌, 위생과 개체수 조절을 통한 실질적인 관리 체계”라며 “이번 시범 운영을 통해 시민과 동물이 공존하는 도시 환경을 조성하고, 공감 기반의 실효성 있는 정책을 지속 발굴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