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노후택지지구 정비 본격 추진…도시 재창조 계획 가동

25년 내 지구단위계획 시행지침 개정,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 수립

염철민

2025-04-11 08:20:38




대전광역시청전경(사진=대전시청)



[세종타임즈] 대전시가 노후화된 계획도시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시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기 위한 ‘노후택지지구 재정비 구상’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며 도심 재창조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이번 사업은 도시 구조 혁신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장기 도시 재창조 프로젝트로 도시 전역의 주거환경 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아우르는 대규모 전략 과제이다.

시는 정부의 ‘1기 신도시 재정비 정책’에 발맞춰 2022년부터 선제적인 준비를 이어왔으며 특히 준공 30년 이상 경과된 장기택지개발지구 17곳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현재 전문가 자문과 관계기관 협의 등을 마치고 지구단위계획 시행지침 개정을 위한 입안 계획 수립 단계에 진입했다.

현재 정비 대상으로 검토 중인 장기택지개발지구는 대부분 198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초중반에 주택난 해소를 위해 공공 주도로 개발된 지역으로 소방도로 등 기반 시설 열악, 노후 건축물 밀집, 주차 부족 등으로 인한 도시 안전, 생활 불편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시대적· 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른 개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번 입안 계획의 핵심 내용은 △단독주택용지 내 주차확보 유도를 위한 조건부 허용용도 및 규모 완화 △기술기반 창업기업 유입 환경 마련 △타 개별법에 의한 재정비 수용 방향 설정 △상업지역 내 도심활성화 시설 유입을 위한 지침 개정 등이다.

시는 이러한 내용을 담은 시행 지침을 2025년 내로 개정·고시해 노후된 계획도시가 자생력을 회복하고 도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2024년 4월 시행된 ‘노후계획도시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과 같은 해 11월 국토교통부가 확정한 기본 방침과 유기적으로 연계해 추진되고 있다.

대전시는 이와 발맞춰 둔산지구를 비롯한 주요 4개 지구를 대상으로‘대전 노후계획도시 정비 기본계획’ 수립을 병행 추진 중이다.

특히 둔산과 송촌 등 대표적인 노후계획도시는 과거 공공 주도로 단기간에 밀집된 주거지역으로 현재는 노후화된 주거환경과 변화하는 인구구조 및 산업 패러다임 전환 등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며 구조적 한계에 직면해 있다.

이에 따라 이번 기본계획에서는 도시문제 해결과 광역적 도시 재구조화를 핵심 과제로 설정했다.

시는 2025년 하반기까지 둔산지구와 송촌지구에 대한 노후계획도시 정비 기본계획을 완료한 뒤 주민공람 및 국토교통부 승인 등 행정절차를 거칠 예정이다.

아울러 특별정비예정구역 내 첫 정비사업을 추진할 선도지구 공모를 통해 선정할 계획이다.

주민참여도, 정비 시급성, 도시계획과의 연계성 등을 종합 평가해 성공적인 사업 모델을 제시할 방침이다.

2026년 상반기까지 30년 이상 경과된 17개 택지지구 전반에 대한 지침 개정 및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까지 마무리하면, 대전시는 전국 최초로 노후 택지지구의 전면적 리뉴얼 체계를 갖춘 도시로서 전국적인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영준 대전시 도시주택국장은 “노후 택지지구 재정비는 시민의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고 도시 전반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종합적인 도시 재창조 프로젝트”며 “시민과의 긴밀한 소통과 공감대 형성을 통해 갈등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미래형 도시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