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타임즈] 대전시립연정국악원과 TJB대전방송이 공동 주최하는 전통 공연 시리즈 ‘소리꾼 - 아티스트 <판소리 다섯 마당>’이 오는 3월부터 11월까지 국악원 작은마당에서 펼쳐진다.
공연은 전통 판소리와 창작 예술이 어우러지는 무대로, 개성 넘치는 소리꾼들을 초청해 전통 판소리의 감동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3월 20일 박수범의 ‘수궁가’를 시작으로, 5월 22일 김미진의 ‘춘향가’, 7월 24일 박인혜의 ‘흥보가’, 9월 18일 정준태의 ‘적벽가’, 11월 20일 오단해의 ‘심청가’가 차례로 무대를 채운다.
공연의 첫 주자인 소리꾼 박수범은 전주예술고등학교 재학 시절부터 동아국악콩쿠르 학생부 금상, 적벽가 완창 발표회 등을 통해 실력을 인정받았으며, 서울대학교 국악과에 진학해 판소리 다섯 마당을 모두 익힌 실력파 국악인이다.
그는 전주대사습놀이 일반부 장원, KBS 국악경연 성악 부문 차상을 수상하며 국악계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특히 ‘이날치’ 팀의 결성 멤버로 활동하며 ‘범 내려온다’가 수록된 ‘수궁가’ 앨범을 발매해 주목받았다. 이후에는 팀을 떠나 판소리 오케스트라 앨범 <적벽대전>을 발표하며 새로운 도전을 이어가고 있다.
판소리 다섯 마당 중 하나인 ‘수궁가’는 과거 ‘토끼타령’, ‘별주부타령’, ‘토별가’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병든 용왕이 치료를 위해 별주부를 시켜 토끼의 간을 구하려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해학과 풍자가 강하게 드러나는 작품이다.
이번 공연에서는 정광수제 ‘수궁가’가 무대에 오른다. 정광수제는 동편제의 시조 송홍록-송관록-송우룡-유성준-정광수-김영자로 전승된 소리로, 격식 있고 유려한 사설 표현과 강렬한 통성, 우조 성음을 바탕으로 한 깊이 있는 표현력이 특징이다.
공연에서는 산청악회 대표이자 제37회 전국고수대회 대통령상 수상자인 김태영 고수가 함께해 깊이 있는 장단을 선보이며, 목원대학교 교수이자 한국공연문화학회 회장인 최혜진이 사회를 맡아 판소리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유한준 대전시립연정국악원장은 “현재 국악계에서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소리꾼들이 전통 판소리를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구성해 펼치는 무대”라며 “국악 대중화와 지역 전통예술 활성화에 기여할 이번 공연을 통해 시민들이 고품격 전통예술을 더욱 가까이에서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연 예매는 대전시립연정국악원 누리집(www.daejeon.go.kr/kmusic) 및 인터파크(ticket.interpark.com)에서 가능하며, 기타 문의는 대전시립연정국악원(☎042-270-8500)으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