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무궤도 차량시스템 도입으로 새로운 대중교통 패러다임 제시

- 국내 최초 국토교통부 모빌리티 혁신위원회 심의 통과 - 저비용 고효율 대중교통체계 구축 및 시범사업 추진 박차

염철민

2025-01-15 09:44:20

 


 

 

 


[세종타임즈]  대전시가 제안한 무궤도 차량시스템 도입이 국토교통부 모빌리티 혁신위원회의 규제 실증특례 심의를 국내 최초로 통과하며, 새로운 대중교통체계 구축에 청신호가 켜졌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4일, 대전시의 신교통수단 시범사업 관련 심의를 거쳐 최종 가결을 발표했다. 이번 결과로 대전시는 신교통수단 도입을 통해 대중교통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범정부 차원의 협력체계를 구축, 사업 추진에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대전시가 추진하는 무궤도 차량시스템은 도시철도 수준의 수송력을 갖추면서도 기존 도로를 활용할 수 있어 궤도 설치가 필요하지 않다. 트램 대비 건설비는 40%, 운영비는 65% 수준으로 경제성과 신속한 도입이 가능하다. 도안동로 중앙 버스전용차로 및 도시철도 2호선 트램 일부 노선을 활용해 효율적인 기반시설 구축이 기대된다.

 

시범운영 구간은 충남대에서 정림삼거리까지 7.8km로, 당초 계획보다 1.6km가 연장되었다. 이는 교통 수요와 대중교통 연계를 고려한 결정으로, 올해 연말 시범운영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대전시는 2023년 10월 이장우 시장의 지시에 따라 무궤도 차량시스템 도입 검토를 시작, 해외 선진 사례조사와 기술 검토 등을 거쳐 올해 4월 시범사업 추진계획을 수립했다. 이후 국토교통부 및 관련 기관과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규제 실증특례 심의를 통과했다.

 

이번 사업의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신교통수단 시범사업 필요성 인정: 규제 실증특례 통과로 법·제도 부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업 추진의 발판 마련 ▶중앙부처와 협력체계 구축: 관련 법 개정과 국내 기술개발 촉진을 위한 기반 조성 ▶확산 가능성 제고: 기획재정부의 투자 지원 과제 선정 및 타 도시 보급·확산 계기 마련


대전시는 지난해 국회와 한국철도학회에서 세미나를 개최하며 신교통수단의 가능성을 알렸고, 국내외 차량 제작사와 지자체의 큰 관심을 이끌어냈다. 앞으로 시범노선을 테스트베드화하며 타 시도와 협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강희업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장은 “대전의 시범사업이 성공한다면 녹색대중교통 활성화의 새로운 대안이 될 것”이라며, 법령 및 규제 개선 등 행정적 지원을 약속했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이번 사업은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경전철을 대체할 혁신적 대안”이라며, “저비용 고효율, 친환경 교통체계를 통해 초연결 교통도시 대전을 실현하고, 전국적인 모범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시는 이번 시범사업을 계기로 국비 확보 및 국가계획 반영을 위해 중앙정부와 협력을 강화하고, 대중교통의 새로운 모델을 대한민국 전역으로 확산시키겠다는 방침이다.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