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명국 의원, 대전 영상콘텐츠산업 육성 전략 마련 촉구

시정질문 통해 정책 부재·추진체계 개선 및 인프라 활용 방안 강조

염철민

2024-11-21 09:28:31

 

 
대전시의회 정명국 의원, “대전시 영상콘텐츠산업 육성 정책 혁신 필요”


[세종타임즈] 대전시의회 정명국 의원은 20일 열린 제282회 제2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에서 시정질문을 통해 대전의 영상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적 시정 운영 방안 마련을 강력히 촉구했다.

 

정 의원은 대전시의 영상콘텐츠산업 육성 정책의 연혁을 언급하며, 2001년 대덕밸리 종합육성계획을 시작으로 다양한 시도가 있었지만 경제적 성과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영상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한 기본계획조차 수립되지 않은 현실을 지적하며, 전략 부재와 단기적 사업 반복이 문제의 근본 원인임을 강조했다.

 

정 의원은 “대전시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로드맵 없이 단기적이고 파편화된 사업만을 추진해왔다”며 정책 추진의 비효율성을 꼬집었다. 이어 관 주도 방식에서 벗어나 민간의 창의성과 혁신 역량을 접목할 것을 제안하며, 대전영상위원회를 중심으로 다원화된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스튜디오큐브의 비효율적 활용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정 의원은 “2012년 대전시가 HD드라마타운을 유치하면서 당시 480억원에 달했던 공유지를 30년간 무상 임대했지만, 스튜디오큐브는 지역경제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며 대전시의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또한, 하드웨어 중심의 인프라 투자에서 벗어나 소프트웨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지역 기업의 역량 강화와 우수 인재 육성, 창작 생태계 지원 등 소프트웨어 중심의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이를 통해 영상콘텐츠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대전의 영상콘텐츠 인프라를 지역 관광과 연계하는 방안도 제안했다. 그는 “도룡동의 MICE산업이나 원도심의 0시 축제와 같은 지역 자원과 영상콘텐츠를 융합하면 대전의 도시 브랜드 가치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고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이에 대해 노기수 대전광역시 문화예술관광국장은 “지역산업의 영세성과 제한된 재정 여건으로 인해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이 어려웠던 점은 인정한다”며 “앞으로 대전영상위원회를 컨트롤타워로 삼아 융복합 특수영상 콘텐츠 클러스터를 거점으로 대전 영상콘텐츠산업 생태계를 경쟁력 있게 조성하겠다”고 답변했다.

 

시정질문을 마친 정명국 의원은 “대전의 영상콘텐츠산업이 과학기술과 연계하고 지역 자원과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겠다”며 대전시의 발전과 시민 행복을 위한 정책 개선을 강조했다.

 

이번 시정질문은 대전의 영상콘텐츠산업이 지역경제와 문화 발전의 핵심 축으로 자리잡기 위한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는 계기로 주목받고 있다.

 

이전
다음